헬리코박터균과 제2형 당뇨병의 연관성

위장에 서식하는 헬리코박터균은 마치 한국인의 상징처럼 여겨질 정도로 우리 한국인들에게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이런 헬리코박터균이 제2형 당뇨병과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며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헬리코박터균과 한국인


헬리코박터균은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서 살고 있는 나선 모양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고 불리는 세균이다. 일반적으로 위암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한국인의 경우 성인 인구의 절반이상이 이미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적이 있거나, 현재 감염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WTO(세계보건기구)에서 조차 헬리코박터균을 현재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으니 국가적인 차원에서 좀 더 적극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헬리코박터균과 제2형당뇨병


국내 연구 결과


분당서울대병원 김나영 교수팀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어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혈당 변화를 5년에 걸쳐 추적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지 않은 그룹,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되었으나 제균 치료를 받지 않은 그룹, 그리고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후 제균 치료를 받은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추적 조사 결과 헬리코박터균 감염 후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경우 제균 치료 완료 후 1년이 지난 시점에서 당화 혈색소(HbA1c) 수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나머지 두 대조군의 경우 모두 1년 후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5년 후에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참고로, 제균 치료 후 가장 큰 당화혈색소(HbA1c) 수치의 감소를 보인 집단은 제균 치료를 마친 65세 미만의 남성 그룹이다. 하지만, 아무래도 65세 이상, 특히 남성인 경우 헬리코박터균 이외에도 이미 많은 대사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커서 헬리코박터균 제균 치료의 효과라고 단정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아무튼, 헬리코박터균은 위장과 관련된 질환과, 대사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번 연구로 제2형당뇨병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해외 연구 결과


뉴욕 대학 메디컬 센터의 블레이저 박사는 미국 NHANE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진행한 그 동안의 조사자료를 비교 분석해 당화혈색소(HbA1c)와 헬리코박터균 감염자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사람은 헬리코박터균 음성인 사람에 비해 당화혈색소(HbA1c)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또한 당화혈색소(HbA1c)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헬리코박터균 감염과 비만이 겹칠 경우 혈당 상승을 더욱 부채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블레이저 박사는 헬리코박터균이 혈당조절 호르몬에 어떤 방식으로 든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당화혈색소(HbA1c) 수치의 상승을 가져오는 것으로 이러한 상황을 설명했다.


국내외 연구 결과의 결론


헬리코박터균과-제2형당뇨병과의-관계


헬리코박터균이 제2형당뇨병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까지는 밝혀내지 못했지만, 위의 두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현재 비만이거나 비만의 위험에 있는 헬리코박터균 감염자가 제균 치료를 받는다면 제2형당뇨병 환자를 포함해 향후 혈당 관리에 더욱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